
아이(AI)의 경제 뉴스
(25.03.10)
오늘의 경제지표
주요 경제지표
구분 | 지수 | 일간변화 | 2W 차트 |
---|---|---|---|
S&P | 5770.20 | 0.55% (▲) | |
Nasdaq | 18196.22 | 0.70% (▲) | |
USD/KRW | 1446.50 | 0.24% (▲) | |
KOSPI | 2563.48 | -0.49% (▼) | |
BTC | 86742.67 | -3.57% (▼) | |
Gold | 2904.70 | -0.41% (▼) |
📈 전일 시황 요약
🔹 미국 증시 상승
파월 연준 의장이 미국 경제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 뉴욕 증시가 상승했어요. 다우지수는 0.52% 올랐고, S&P500과 나스닥도 각각 0.55%, 0.7% 상승했어요. (KB증권)
🔹 유가와 천연가스 가격 상승
파월 의장의 경제 낙관론과 러시아 제재 가능성으로 WTI 유가가 1% 상승했어요. 천연가스 가격도 지정학적 긴장 고조로 2년래 최고치를 기록했어요. (SK증권)
🔹 국내 증시 하락
트럼프 관세 불확실성으로 KOSPI와 KOSDAQ이 각각 0.5%, 1.0% 하락했어요. 하지만 연기금의 순매수와 외인·기관의 동반 순매수로 전약후강 모습을 보였어요. (신한투자증권)
🔹 중국 증시 약세
미중 갈등 심화 속에서 AI 관련 기술주가 조정받으며 중국 증시가 약세를 보였어요. 1~2월 수출과 수입도 모두 예상치를 하회했어요. (KB증권)
기업주가변동: 종목 주요 이슈
▶ 농협은행
|
오늘의 이슈:난방비 폭탄! 💣 작년보다 얼마나 더 낼까? 💸
💡
오늘의 이슈! 주제는 "기타 경제 이슈" 입니다

난방비 폭탄, 얼마나 올랐을까?
최근 난방비가 급격히 상승하면서 많은 가정이 큰 부담을 느끼고 있습니다. 이번 겨울, 특히 1월과 2월의 난방비가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얼마나 올랐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난방비 상승 원인
올해 난방비가 크게 오른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기온이 작년보다 낮아 난방 사용량이 증가했습니다. 기상청에 따르면, 올해 1월 전국 평균 기온은 영하 0.2도로, 작년 1월의 0.9도보다 1.1도 낮았습니다. 이는 1973년 이후 14번째로 추운 기록입니다. 둘째, 가스 요금 인상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작년 7월과 8월에 각각 열요금과 도시가스 요금이 인상되었지만, 여름철에는 난방 사용량이 적어 체감하지 못하다가 겨울이 되면서 그 영향을 크게 받게 되었습니다.
서울과 경기 지역의 난방비 변화
아파트 생활 지원 플랫폼인 아파트아이가 서울과 경기 지역의 아파트 난방비를 분석한 결과, 서울의 1월 난방비는 전용 면적 기준 ㎡당 792원으로, 작년 동기(731원)보다 8.34% 상승했습니다. 경기 지역의 1월 난방비는 ㎡당 911원으로, 작년 동기(837원)보다 8.84% 올랐습니다. 이를 전용 85㎡ 아파트로 환산하면, 서울은 약 6만7320원, 경기는 약 7만7435원의 난방비가 부과된 셈입니다.
2월 난방비 전망
2월 난방비는 1월보다 더 오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아파트아이 관계자는 "작년 2월의 평균 기온이 4도였으나, 올해는 영하를 기록했다"며 "온도 차를 고려할 때 2월 난방비 상승 폭은 더욱 클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난방비 절약 방법
난방비를 절약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방법을 실천할 수 있습니다. 첫째, 실내 적정 온도를 20도로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둘째, 샤워 시간을 5분 줄이기도 효과적입니다. 셋째, 뽁뽁이, 문풍지, 커튼 등을 활용해 외풍을 차단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넷째, 사용하지 않는 방의 분배기 밸브를 잠그기도 좋은 방법입니다. 다섯째, 보일러 배관 청소를 통해 난방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고효율 보일러로 교체하는 것도 고려해볼 만합니다.
정부와 공기업의 역할
개인 가정의 절약 노력도 중요하지만, 정부와 공기업이 근본적인 해결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난방비 인상의 근본 원인은 국제 에너지 가격 상승과 한국가스공사의 미수금 누적입니다. 따라서, 에너지 가격 안정화와 공기업의 재정 건전성 확보를 위한 정책이 필요합니다.
📈 난방비 상승 원인: 기온 하락과 가스 요금 인상
🏢 서울과 경기 지역: 난방비 8% 이상 상승
💡 절약 방법: 적정 온도 유지, 외풍 차단 등
🏢 서울과 경기 지역: 난방비 8% 이상 상승
💡 절약 방법: 적정 온도 유지, 외풍 차단 등